티스토리 뷰
실업급여 근무일수 계산기, 수령조건 확인하기
최우영 2024. 2. 20. 18:57실업급여 는 직장을 잃게 되었을 때 경제적인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 제공되는 혜택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실업급여 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한 근무일수 를 충족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 실업급여 근무일수 계산기 '가 중요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업급여 를 받기 위한 근무일수 계산법과 관련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실업급여 수령 조건
-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여야 합니다.
- 실직 전 180일 이상 근무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 근로 의사는 있지만 자발적 퇴사가 불가능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 이사 등으로 인한 출퇴근 시간 증가도 포함됩니다.
실업급여 근로일 수
- 일반적으로 180일(6개월) 이상의 근무일이 필요합니다.
- 실제로 일한 날짜가 18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 주말과 공휴일은 제외됩니다.
- 한 달의 평균 근로일수는 약 22일입니다.
- 따라서 9개월 이상 근로한 경우에는 보통 근로일수 180일을 충족합니다.
실업급여 지급액
- 근로일수에 따라 지급액이 변동됩니다.
- 1년 미만 근로자의 경우에는 최대 120일까지 지급됩니다.
- 10년 이상 근로자의 경우에는 최대 270일까지 지급됩니다.
- 지급액은 평균임금의 60%에 소정일수를 곱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 상한액은 1일에 66,000원이며, 하한액은 60,120원입니다.
실업급여 모의 계산기
- 예를 들어 월 3백만원 정도의 소득을 받는 경우, 3년 근로 후 비 자발적 퇴사 시 180일 동안 60,120원씩 지급됩니다.
이상으로 실업급여 근무일수 계산기 를 사용하여 퇴사일을 예측하고, 실제로 필요한 일 수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실업급여 를 받기 위해서는 근무일수 를 충족해야 하며, 이를 통해 재정적인 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지급액 계산 공식 |
상한액 |
하한액 |
평균임금의 60% × 소정일 수 |
66,000원 |
60,120원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