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보이스피싱 계좌정지 대처법, 사기 방지 클릭하세요
최우영 2024. 1. 15. 01:11'보이스피싱 계좌정지 '에 대한 포스팅을 통해, 보이스 피싱범들이 피해자의 계좌를 이용하여 사기를 치는 사례와 그에 따른 대처법 및 추가 피해 최소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보이스피싱 계좌정지 사기가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합니다.
보이스피싱 사기 방법
보이스피싱 사기 방법
- 보이스 피싱범은 피해자에게 텔레그램 아이디를 통해 제삼자에게 돈을 보내라고 압박합니다.
- 피해자가 피해구제신청을 하면 계좌가 '사기이용계좌'로 등록되어 모든 계좌가 정지됩니다.
- 보이스 피싱범은 이후 계좌를 풀어주겠다는 명목으로 수백만 원을 요구하며, 일부 피해자는 돈을 송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하지만 실제로는 피해자가 신고를 취해야 계좌가 해제되므로 돈을 송금해서는 안됩니다.
사기 입금 후 계좌지급정지 해제 빠른 방법
-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입금이 발생하면 즉시 은행에 신고하고 상담을 받습니다.
- 통장 개설지점을 방문하여 입금된 금액만 지급정지 신청합니다(신분증 지참).
- 피해자와 합의 중재 신청하여 지급정지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피해자는 '피해구제 취소신청서', 입금받은 자는 '자금반환 동의서'를 작성하고 제출합니다.
-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이의 제기 신청서'를 은행에 제출합니다.
보이스피싱 유의사항
- 보이스 피싱범이 계좌정지 를 풀어준다고 금전을 요구할 경우, 절대 응하지 않아야 합니다(지급정지 해제 안됨).
- 계좌를 온라인에 노출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사업상 노출이 불가피한 경우, 노출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보이스피싱 신고 및 은행사 연락처
- 피해자는 의심되는 금액이 송금된 경우 즉시 은행에 신고해야 합니다.
중요 내용 정리
이렇게 보이스피싱 계좌정지 사기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보이스피싱 사기 방법과 대처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합의와 은행 이의제기를 통해 계좌를 빠르게 해제할 수 있으며, 보이스피싱 범의 금전 요구에 절대 응하지 않아야 합니다.
추가 정보
억울하게 지급정지 당하는 이유
- 제삼자 사기: 중고 거래 등에서 사기꾼이 피해자의 계좌를 이용하여 피해자에게 금전을 받는 경우, 피해자가 보이스 피싱 계좌로 신고하여 계좌가 정지됩니다.
- 신종 협박 사례: 최근에는 소액을 송금한 후 보이스 피싱 계좌로 신고를 하고, 신고 취소를 빌미로 수백만 원을 요구하는 사기 수법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응하지 않으면 거래대금 결제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보이스피싱 계좌 지급정지 해제 방법 2가지
- 피해자와 합의하기: 피해자와 합의를 이루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합의 후 피해자가 '피해구제 취소 신청서'를 제출하면, 지급정지가 해제됩니다. 피해자에게 직접 연락하기 어려운 경우 은행의 중재가 필요합니다.
- 이의제기 신청하기: 은행에 방문하여 '이의제기 신청서'를 작성하고, 신고 금액과 관련된 사유와 증거를 명시해야 합니다. 이의제기가 받아들여지면, 지급정지 해제까지 2~3주 정도 소요됩니다.
계좌 지급정지 사유
- 보이스 피싱 계좌 신고
- 제 3자 사기 연루
- 신종 통장 협박
은행 연락처
- 국민은행: 02-2073-7114
- 우리은행: 02-2125-2000
- 신한은행: 02-6360-3000
- 하나은행: 02-3788-5464
- 농협은행: 02-2080-5114
- 기업은행: 02-729-7114
보이스피싱 계좌정지 사기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합의나 이의제기를 통해 계좌를 해제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또한 보이스피싱 범의 금전 요구에 절대 응하지 않아야 하며, 의심되는 경우 즉시 은행에 신고해야 합니다.
주요 내용 |
해결 방법 |
보이스피싱 사기 방법 |
- 보이스피싱 사기 방법을 알고, 금전 요구에 응하지 않기 - 계좌를 온라인에 노출시키지 않기 |
사기 입금 후 계좌지급정지 해제 빠른 방법 |
- 즉시 은행에 신고 및 상담 - 통장 개설지점 방문 및 신고 - 피해자와 합의 또는 이의제기 신청 |
억울하게 지급정지 당하는 이유 |
- 제삼자 사기 및 신종 협박 사례 |
은행 연락처 |
- 각 은행별 연락처를 확인하여 신고 또는 이의제기 신청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