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3년 출산지원금 핵심내용

최우영 2023. 10. 25. 23:01

2023년 출산지원금에 대한 정보를 한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족을 위한 다양한 혜택을 받아보세요!

 

정부24 온라인 홈페이지

 

정부 지원금

  • 첫 만남 이용권: 최대 200만 원 지원

 

  • 아이와 함께 사용 가능
  • 자녀 1인당 최대 200만 원, 쌍둥이 400만 원 한도
  • 아이가 태어난 날로부터 1년 이내 사용 가능

 

부모급여

  • 출산 후 1년간 급여 지급
  • 2023년 1월부터
    • 0세(1개월~11개월): 월 70만 원
    • 1세(12개월~23개월): 월 35만 원

     

  • 2024년부터
    • 0세(1~11개월): 월 100만 원
    • 1세(12개월~23개월): 월 50만 원

     

  • 신청은 생년월일을 포함하여 60일 이내에 해야 함.

 

아동수당

  • 만 8세 미만의 아이들에게 지급
  • 금액은 지자체에 따라 다름
  • 최대 96개월간 지급

 

지방자치단체 지원금

  •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다양한 출산지원금 정책 시행
  • 예시: 임산부 교통비(70만 원), 외래 진료비 할인, 의료비 지원(38만 원~509만 원), 산후조리원 지원, 임신 영양 플러스 등

 

출산지원금 신청방법

 

정부24 온라인 홈페이지

 

출산지원금 신청 유의사항

  • 2023년 출산지원금은 출산 후 일정 기간 내에 신청 필요
  • 지원금액은 신청자의 소득 수준, 자녀의 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더 많은 정보 를 확인하세요!

더 많은 정보

2023년 출산육아 지원금에도 다양한 혜택이 있으니 잘 활용해보세요:

 

학부모 지원

  • 대상: 서울시 거주 중위소득 80% 이하의 한부모 중 임신 중이거나 출산 3개월 이내
  • 지원 내용: 출산&양육물품 꿈틀박스 및 선택적 예방접종 로타텍
  • 신청 방법: 서울한부모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다운로드 후 증빙서류와 함께 제출

 

임산부 지원

  • 대상: 5대 고위험 임신 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 치료를 받은 임산부 또는 사산한 경우
  • 지원 내용: 입원치료비 중 비급여 본인부담금(90% 범위 내에서 지원, 최대 300만원)
  • 신청 방법: 거주 자치구 보건소 방문, 신청 기간은 분만일로부터 6개월 이내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 대상: 1급6급 등록 여성장애인 중 출산, 유산, 사산(임신 기간 4개월 이상)을 한 사람 또는 남성장애인(1급3급)의 배우자
  • 지원 내용: 출산 비용 지원, 별도의 소득 기준 없음
  • 신청 방법: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 방문, 구비 서류 제출

 

우리동네 보육반장

  • 대상: 육아 정보를 필요로 하는 부모
  • 이용 방법: 서울시 보육포털서비스(우리 동네 보육 반장) 또는 다산콜센터(120)로 문의

 

출산 축하금 지원

  • 대상: 해당 구에 거주하는 임산부
  • 이용 방법: 출산 전 진료비 및 출산 축하금 신청, 신청서 및 증빙 서류 제출

 

이상이 2023년 출산육아 지원금에 관한 요약 정보입니다. 숫자 및 수치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으니 자세한 내용은 서울청각장애인학습지원센터 를 확인하세요!

서울청각장애인학습지원센터

서울특별시 한부모가족지원센터

2023년 출산지원금으로 가정에 행복과 안정을 더해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