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보이스피싱 문자 신고 방법 행동 요령 알아보자
최우영 2024. 6. 16. 12:40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보이스피싱 문자 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보이스피싱 문자 는 최근에 많은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고 있는 사기 수법 중 하나입니다.
보이스피싱 문자란?
보이스피싱 문자 는 주로 공공기관, 금융기관, 지인을 사칭하는 방식으로 자금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악성 앱 설치 링크를 포함하여 클릭하면 피해를 입히는 사기 문자입니다. 이런 사기 문자로는 예금인출이나 결재대납 등의 직접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광고성 전화, 스팸메일 수신, 명의도용 등 간접적인 피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고 방법
만약 보이스피싱 문자 를 받았다면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피해 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수신만으로도 신고가 가능합니다. 보이스피싱 문자 신고 는 전화 또는 인터넷으로 가능합니다. 전화로 신고할 때는 118로 전화하고, 인터넷으로 신고할 때는 KISA 불법스팸 대응센터(kisa.or.kr/118)를 이용하면 됩니다.
피싱 문자를 받았을 때의 행동 요령
피싱 문자를 받았다면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요령이 있습니다. 1.은행이나 카드사로부터 문자를 받았다면 해당 기관에 직접 전화를 걸어 사실 여부를 확인합니다. 2.지인이 금전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화를 걸어 확인합니다. 3.문자나 SNS 본문에 링크된 주소를 바로 클릭하지 말고 사실 여부를 확인한 뒤 클릭합니다. 4.출처가 의심스러운 사이트에서 경품에 당첨되었다는 내용을 알리는 경우, 해당 회사에 직접 전화를 걸어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중요한 개인정보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피해 발생 시의 행동 요령
피싱 문자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다면 빠르게 대응해야 합니다. 아래 순서대로 빨리 대처할수록 피해 금액을 돌려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1.경찰서에 신고해서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발급받습니다. 2.금융기관의 콜센터에 전화해서 지급정지를 신청합니다. 3.경찰서에서 받은 '사건사고 사실확인원'을 이동통신사, 결제대행사 등 관련 사업자에 제출합니다. 4.악성파일을 삭제합니다. 삭제되지 않거나 어떤 파일을 삭제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에는 휴대전화 서비스센터를 방문하거나 스마트폰을 초기화해야 합니다. 5.금융 및 증권 등의 공인인증서를 즉시 폐기하거나 재발급받습니다. 6.118로 전화하거나 KISA 불법스팸 대응센터 홈페이지에 신고합니다.
예방하는 생활 습관
보이스피싱 문자 를 받지 않기 위해선 평소에도 보안을 중시하는 생활 습관이 필요합니다. 몇 가지 예방하는 생활 습관을 소개드리겠습니다. 1.스마트폰 운영체제와 모바일 백신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2.공식 앱스토어가 아닌 출처를 알 수 없는 앱을 설치하지 않습니다. 3.과도한 권한을 요구하는 앱은 설치하지 않습니다. 4.문자나 메시지에 포함된 URL(링크)를 클릭하지 않습니다. 5.스마트폰 보안 잠금을 설정합니다. 비밀번호 또는 화면 패턴을 사용하세요. 6.스마트폰 와이파이 이용 시, 제공자가 불분명한 공유기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7.스마트폰에 주민등록증, 보안카드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습니다. 8.스마트폰을 교체할 때는 데이터를 완전 삭제하고 초기화를 합니다. 9.각종 SNS의 계정 로그인에는 2단계 인증을 설정합니다. 10.검증되지 않은 인터넷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습니다.
보이스피싱 문자 는 다양한 사기 수법 중 하나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악용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평소에도 보안을 생활 습관으로 삼아야 합니다. 소중한 개인정보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항상 주의하는 습관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항목 |
내용 |
보이스피싱 문자 정의 |
공공기관, 금융기관, 지인을 사칭하여 금융정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사기 문자 |
유형 |
공공기관 사칭, 금융기관 사칭, 지인 사칭 |
신고 방법 |
전화: 118, 인터넷: KISA 불법스팸 대응센터 (kisa.or.kr/118) |
행동 요령 |
- 은행/카드사에 직접 확인 전화- 지인에게 전화로 확인- 링크 클릭 전 사실 여부 확인- 경품 당첨 알림 시 회사에 전화 확인 |
피해 발생 시 대처 |
- 경찰서 신고 후 '사건사고 사실확인원' 발급- 금융기관 콜센터에 지급정지 신청- 관련 사업자에 '사건사고 사실확인원' 제출- 악성 파일 삭제- 공인인증서 폐기/재발급- 118에 전화 또는 KISA 신고 |
예방 방법 |
- 스마트폰 운영체제/백신 최신 버전 업데이트- 공식 앱스토어 이용- 과도한 권한 요구 앱 설치 금지- 링크 클릭 금지- 스마트폰 보안 잠금 설정- 불분명한 와이파이 이용 금지- 루팅/탈옥 금지- 중요한 정보 스마트폰에 저장 금지- 데이터 완전 삭제 후 스마트폰 교체- SNS 로그인 2단계 인증 설정- 검증되지 않은 사이트에 개인정보 입력 금지 |